Google Analytics 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추출하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
1. UI 다운로드
웹(https://analytics.google.com/)에서 GA에 접속해
Export 를 클릭해 원하는 파일 유형 (PDF, Google Sheets, Excel, CSV)으로 로컬에 다운로드 한다.

※ 제한사항 : 한 번에 최대 5,000 행까지만 다운로드 가능하다.
2. Unsampled Report (GA 360 Only)
웹(https://analytics.google.com/)에서 GA에 접속해
Export > Unsampled Report 를 클릭해 CSV 형태로 로컬에 다운로드 한다.
샘플링되지 않은 보고서를 생성할 때는 Google 서버 측에 상당한 처리 부하가 발생하므로
GA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인 GA 360에서만,
그 중에서도 권한 부여된 계정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 제한사항 : 한 번에 최대 3,000,000 행까지만 다운로드 가능하다. 기간이 1년 이상일 경우, Google 에서는 오류 방지를 위해 분할 추출을 권장한다.
3. BigQuery API
BigQuery 를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BigQuery 를 Google Analytics 와 연계해
GA 데이터를 BigQuery로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모든 GA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이다.
가령 성별, 연령대 또는 관심사 등의 데이터는 추출이 불가능하다.
가져올 수 있는 데이터는 오직 BigQuery API 스키마에서 정의된 속성에 한해서만 가능하며
해당 스키마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
BigQuery Export API 스키마 링크
※ 제한사항 : Export 가능한 속성이 제한된다.
4. Core Reporting API (★추천)
Core Reporting API 는 Google 측에서 GA 데이터를 타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API 방식의 인터페이스다.
목적 자체가 호환성에 있기 때문에,
Java, Python, PHP, JavaScript 기반의 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며 가이드까지 제공한다.
Core Rerpoting API 를 통해 다음 작업이 가능하다 :
- GA 데이터 기반으로 커스텀 대시보드를 제작
- 리포팅 업무 자동화
- 타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과 GA 데이터 연계
Core Reporting API 방식을 적극 추천하는 이유는,
단연 접근 가능한 속성과 디멘션이 가장 포괄적이기 때문이다.
앞서 살펴본 3번 BigQuery Export API 에서 지원하지 않는 속성들을
(ex.연령대, 성별, 관심사 등) 대부분 제공하며,
Custom 속성/디멘션까지 조회 가능하다.
해당 스키마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Expand All 클릭) :
Core Reporting API 스키마 링크
단, 고객 식별자 값과 같은 개인민감정보(PII)들은 조회가 불가하니 이 점 알아두자.
(필자의 경우, hashed 값도 추출 불가했는데 가능한 경우 댓글 바람)
※ 제한사항 : API Request 최대 2,000 건으로 제한
↑ 다음 포스팅에서는 Core Reporting API 를 활용해 R 로 GA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googleAnalyticsR 패키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Google Analytics 데이터 가져오기 (Data Export)” 글에 관한 1개의 생각